본문 바로가기

서울 둘레길(完)&한양도성 숙성길(完)19

서울 한양도성 숙성길을 완주하다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이다 좁은 의미로는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문을 지칭하나 넓은 의미로는 성곽과 그 안의 공간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는 줄여서 한성(漢城)으로 불렸으며 사적으로서의 명칭은 지정 당시 서울성곽으로 정했다가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1396년 태조에 의해 축조되었고 세종, 숙종, 순조 시기에 보수 공사를 거쳤다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며 상당한 구간이 훼손 되었으나 1974년 박정희 정권 시기부터 복원사업이 진행 돼 2013년 기준으로 총길이 18,627m 중 약 70% 구간이 남아 있다 2012년 11월 23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신청자격이 부여되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으나 .. 2020. 11. 4.
다시 걸어 본 서울 둘레길 북한산 8(8-4일부분과 8-5)코스 마지막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 연장 157km의 서울둘레길은 8개 코스로 역사, 문화, 자연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이다 서울둘레길은 ‘숲길’, ‘하천길’, ‘마을길’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을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 쉬우며 주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21개 구간 세부코스 스탬프 설치위치 1코스 서울창포원 관리사무소 앞 불암산 우회코스 갈림길 화랑대역 4번 출구 앞 공원 1개 우체통에 2개 스탬프시설.. 2020. 10. 25.
다시 걸어 본 서울 둘레길 북한산 8(8-1,8-2,8-3,8-4일부분)코스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 연장 157km의 서울둘레길은 8개 코스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이다 서울둘레길은 ‘숲길’, ‘하천길’, ‘마을길’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을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 쉬우며 주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21개 구간 세부코스 스탬프 설치위치 코스스탬프 위치(시계방향으로)비고 1코스 서울창포원 관리사무소 앞 불암산 우회코스 갈림길 화랑대역 4번 출.. 2020. 7. 26.
다시 걸어 본 서울 둘레길 봉산&앵봉산7(7-1,7-2)코스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 연장 157km의 서울둘레길은 8개 코스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이다 서울둘레길은 ‘숲길’, ‘하천길’, ‘마을길’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을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 쉬우며 주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21개 구간 세부코스 스탬프 설치위치 코스스탬프 위치(시계방향으로)비고 1코스 서울창포원 관리사무소 앞 불암산 우회코스 갈림길 화랑대역 4번 출.. 2020.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