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 나누기

조카 정훈 결혼 & 서울 이곳저곳 둘러보기~2

by 샘 터 2024. 4. 26.

 

 

 

 

 

 

 

 

조카 결혼식을 마치고

남산을 오르기 위해 이동한다

 

 

 

 

 

 

 

 

남산은 두어번 가 본 곳이지만

케이블카를 안 타 봤기에

딸이랑 사위는 여기서 헤어지고

타는 곳으로 가니 50분 대기란다

에구구 아쉬움을 뒤로 하고 걸어서 올라간다

 

 

 

 

 

 

 

 

 

 

 

 

 

 

 

 

 

 

 

 

 

 

 

남산서울타워 방향으로~

 

 

 

 

 

 

 

 

종지나물

 

 

 

 

 

 

 

 

이런 봄색을 보면서

걸어가는게 오히려 더 좋다

 

 

 

 

 

 

 

 

어디서 꽃향기가 솔솔~~

고개를 들어 보니

기룽나무꽃이 화사하게 피었다

봄에 꼭 봐야한다는 기룽나무

이곳에서 보게 되니 반갑기 그지없다

 

 

 

기룽나무

 

높이는 10m~15m 정도로 크게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디든지 계곡가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다

이름의 유래로는 줄기껍질이 거북이(龜)등처럼 생겼고

줄기와 나뭇가지가 용을 닮았다고 하여 귀룽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는 구룡목이라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여러가지 설이 있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져 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새가지 끝에 하얀색 총상꽃차례로 모여서 핀다

향기가 강해서 멀리서도 그 향기를 맡을 수 있다

꽃말은:사색, 열매는 원추형 모양이고 벚나무 열매와  닮았다

가을에 검정색으로 익는다 귀룽나무로 만든 술을 취리자라고 한다

개벚지나무랑 비슷하지만 꽃을 비교 해 보면 두 나무를 서로 비교 할 수 있다

꽃차례 하부에 잎이 없는 것은 개벚지나무이며 하부에 잎이 달리는 것은 귀룽나무이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잎을 뜯어 단면의 냄새를 맡아 보는 것으로

귀룽나무는 고무 같은 불쾌한 냄새가 나므로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느티나무 새 잎이 녹색별이다

싱그러움 그 자체이다

 

 

 

 

 

 

 

 

 

 

 

 

 

덥긴해도 날씨가 맑아서 좋다

 

 

 

 

 

 

 

 

 

 

 

 

 

 

 

 

 

 

 

 

 

 

 

 

 

 

 

 

 

 

 

 

 

 

 

 

 

 

오름길에 또 기룽나무를 만나다

 

 

 

 

 

 

 

 

이렇게 만개한 것은 보기 쉽지 않은데

여길 오길 너무 잘했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울동넨 다 졌는데 여기는 한창이다

 

 

 

 

 

 

 

 

라일락

 

 

 

 

 

 

 

 

흰색도 피었다

 

 

 

 

 

 

 

 

 

 

 

 

 

 

 

 

 

 

 

 

 

 

 

안산~인왕산~북악산~북한산~도봉산 등등

서울 산들이 쭈욱~~~

오늘따라 조망이 깨끗하다

 

 

 

 

 

 

 

 

 

 

 

 

 

 

 

 

 

 

 

 

 

 

 

 

 

 

 

 

 

 

 

 

 

 

 

 

 

 

 

 

 

 

 

 

 

 

 

 

 

 

 

 

 

 

 

 

 

 

 

봉수대 옆 귀룽나무

 

 

 

 

 

 

 

 

예전에 왔을때 이곳엔 열쇠가 하나도 없었는데

언제 이렇게 많이~~~

 

 

 

 

 

 

 

 

 

 

 

 

 

 

 

 

 

 

남산타워전망대로 올라간다

 

 

 

남산

 

산의 높이는 262m이며 목멱산·인경산·마뫼로도 불렸다

동쪽의 낙산, 서쪽의 인왕산, 북쪽의 북악산과 함께 서울의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다

조선 태조 때 능선을 따라 도성을 축성했으나 현재는 성곽의 일부만 남아 있다

 

남산타워라고도 하는 N서울타워는 산정에 솟아 있는 높이 236.7m의 송신탑으로 사방으로 펼쳐진

서울의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와 휴식·관광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총면적 2,971㎢의 남산 일대가 시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90년부터 서울특별시의 ‘남산 제모습찾기 종합계획’이 추진되면서

남산의 옛 모습 복원을 통해 남산의 역사적 위상과 자연경관을 회복하는 동시에

시민 휴식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하고 있다

 

남산의 명소는 N서울타워·팔각정·장충단공원·남산케이블카·야생화원 등 다양하다

 

 

 

 

 

 

 

 

 

 

 

 

 

 

 

 

 

 

실내에도 이쁘게 해 놓았다

 

 

 

 

 

 

 

 

에스켈리터를 타고 오르다

 

 

 

 

 

 

 

 

엘스켈리터 안에서 보는 서울모습 영상

 

 

 

 

 

 

 

 

 

 

 

 

 

영상 보는사이 금방 올라왔다(8층)

 

 

 

 

 

 

 

 

오우~~!!

무섭지만 풍경이 너무 이쁘고 아름다워서 안 내려다 볼 수가 없다

 

 

 

 

 

 

 

 

이따가 내려 갈 해방촌

 

 

 

 

 

 

 

 

 

 

 

 

 

 

 

 

 

 

 

 

 

 

 

 

 

 

 

 

 

 

 

 

 

 

 

 

 

 

 

 

 

 

 

 

 

 

 

 

갈색띠처럼 보이는 곡선은 벚꽃길이다

이따가 저 길로 내려갈 예정~~~

 

 

 

 

 

 

 

 

 

 

 

 

 

 

 

 

 

 

타워에서 내려오니 무슨 공연이 있나 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다

 

 

 

 

 

 

 

 

 

 

 

 

 

 

 

 

 

 

 

 

 

 

 

 

 

 

 

 

 

 

 

 

 

 

 

 

 

 

 

 

 

 

 

 

 

 

 

 

 

 

 

 

 

 

 

 

 

 

서울둘레길할때도 왔던 곳인데

다시 오니 더 이쁘게 해 놓은 것 같다

 

 

 

 

 

 

 

 

 

 

 

 

 

 

 

 

 

 

 

 

 

 

 

 

 

 

 

 

 

 

 

 

 

샤라랄라~~

꽃비가 내린다

 

 

 

 

 

 

 

 

 

 

 

 

 

살찍 지름길로~~

 

 

 

 

 

 

 

 

 

 

 

 

 

 

 

 

 

 

 

 

 

 

 

해방촌을 둘러본다

 

 

 

해방촌

 

구로구 온수동 서울럭비구장 근처에 있던 마을로서

해방 후 여기에 월남민들이 일시 모여 살았던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터골에서 경인전철 너머 개울 건너에 있었다

 

 

 

 

 

 

 

 

 

 

 

 

 

 

 

 

 

 

 

 

 

 

 

집 구조는 그대로 두고

실내를 간단하게 살짝 개조하여

젊은이들이 많이 찾게 된 요즘 대세의 가게들~~

 

 

 

 

 

 

 

 

 

 

 

 

 

명동으로 이동하여~~

 

 

 

명동

 

서울의 대표적인 상업지구이다

일제 때 명치정이었다가 해방 후 1946년 명동으로 개칭했다

 

조선시대에는 주택지였으나 일제 때 충무로 1·2가를 상업지구로 개발하면서

인접지역인 명동도 상업지구가 되었다

그러나 명동이 현재의 모습으로 된 것은 6·25전쟁 직후

토지계획정리추가지구로 결정되면서부터이다

 

1956년 이후 고층빌딩이 들어서고

양잠점, 양화점, 귀금속, 대형백화점, 금융기관 등이

밀집되어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의 쇼핑지로 애용되어왔다


강남의 압구정동이 새로운 패션 중심지로 등장하면서 위축되었으나

상인들을 중심으로 명동의 위상을 되찾고자 1982년부터 명동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2014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었으며

중국과 일본 등 외국관광객들이 많이 찾으면서 쇼핑 관광지의 면모를 되찾아가고 있다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거의가 다른나라 사람인 것에

놀랍다

 

내가 꼭 해외여행 온 착각이 들 정도로~~

 

 

 

 

 

 

 

 

 

 

 

 

 

 

 

 

 

 

 

 

 

 

 

신랑님이 서울에 살았기에

여기저기 설명을 잘 해 주신다

 

 

 

 

 

 

 

 

한국은행

 

 

 

 

 

 

 

 

 

 

 

 

 

 

 

 

 

 

 

 

 

 

 

 

 

 

 

 

 

 

 

 

 

 

 

 

 

 

 

 

 

 

 

 

 

 

 

 

 

 

 

 

 

 

 

서울남대문시장

 

1921년 3월송병준(宋秉畯)에 의하여

조선농업주식회사(朝鮮農業株式會社)가 설립되면서

정식으로 개시(開市)하게 되었으며

남문(南門) 안장 또는 신창(新倉) 안장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이전인 1414년(태종 14) 조정에서 남대문 언저리에

가게를 지어 지정된 상인들에게 빌려주기도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이후인 1608년(선조 41) 지방에서 올라오는

세공(歲貢)·세곡(稅穀) 등을 보관하고 포(布)·전(錢)의 출납을 맡아보는

선혜청(宣惠廳)이 지금의 남창동 부근에 설치되게 됨에 따라

남대문 밖 칠패(七牌)에는 자연히 객사와 주막이 생기고

사상도매(私商都賣)의 시장이 형성되게 되었다

이것이 이곳에 시장이 생기게 된 연유이다

 

개시 초기 주로 거래되었던 품목은 미곡·어류·과물·잡화 등이었는데

미곡을 비롯한 곡물류가 가장 많이 거래되었다

1922년 조선총독부에서 행한 조사에 따르면

남대문시장 거래액 중 농산물이 77%로 가장 많고 수산물이 5%, 기타 17%이다

 

1922년 시장경영권이 일본인 회사인 중앙물산

주식회사(中央物産株式會社)로 넘어가게 되어 명칭도

중앙물산시장으로 바뀌었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은 계속해서 남대문시장이라고 불렀다

 

광복 이후 일본인들이 물러나자

상인들로만 구성된 남대문상인연합회가 구성되어 시장을 관리, 운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곧 6·25전쟁을 맞아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서울이 수복된 뒤 다시 시장이 형성되어

당시 피난민들의 생활터전으로 큰 구실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53년 화재발생으로 시장은 전소되어버렸고

1954년 상인들에 의하여 서울남대문시장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재건이 시작되었지만 재정난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해산되어버렸다

 

1958년 대지 약 1만 2000평, 건평 약 2,000평 규모의 건물이 세워지고

1963년남대문시장주식회사가 다시 발족되었지만 1968년 또다시 대화재로

시장 중심부가 전소되었으며 1975년에도 화재가 발생, 시장 일부가 불탔다

 

 

 

 

 

 

 

 

노래자랑에서였던가....??

참 재미 있어서 기억이 나는데

어디서 봤던

남대문시장에서 유트브를 찍고 있다

 

 

 

 

 

 

 

 

보자기안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

 

 

 

 

 

 

 

 

 

 

 

 

 

한강공원으로 간다

 

 

 

 

 

 

 

 

반포대교

 

 

 

 

 

 

 

 

 

 

 

 

 

 

 

 

 

 

 

서울반포 한강공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반포대교 근처 한강 둔치에 조성된 한강공원이다

오세훈 당시 서울특별시장의 주요 정책 중 하나인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이자 첫 번째 결과물이다

 

반포대교를 중심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한남대교, 서쪽으로는 동작대교까지에 해당하며

서쪽으로는 길이 7.2㎞이다

 

 

 

 

 

 

 

 

 

 

 

 

 

 

 

 

 

 

 

 

 

 

 

 

 

 

 

 

 

 

 

 

 

 

 

 

 

 

 

 

 

 

 

 

 

 

 

 

 

 

 

 

 

한강공원을 나와서 고속버스를 타러 간다

 

 

 

 

 

 

 

 

 

 

 

 

 

센터럴 고속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타고

집에오니 자정이 되었다

 

**

 

많이 걷고

많이 보고

먹거리도 많이 먹고

 

이렇게 서울만가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이곳저곳

신랑님의 추억을 주우면서

돌아 다닌다

 

그래도

둘 다 걷는 것을 좋아하면서

즐기니 다행~~ㅎㅎㅎ

 

 

 

2024.   .4.   14(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