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파랑길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 둘레길의 남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에서 시작해
해남의 땅끝마을까지 연결된
총 90개 구간의 1,463km의
걷기 여행길이다
‘남쪽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 길’이란 뜻으로
2016년에 개통한 해파랑길에 이어
두 번째로 2020년 10월 31일 개통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17년 노선 조사를 시작으로
2018년 노선안 확정
남파랑길 명칭과 상징물 확정
2019년 안내체계 정비
2020년 최종 점검을 거쳐
남파랑길을 개통했다
광역 지방자치단체 3곳과
기초 지방자치단체 23곳에 걸쳐 있다
구간별 특성을 담아
남도문화길과 남도낭만길등
5가지 주제의 길로 구성돼 있다
남도문화길은
장흥에서 강진, 완도, 해남으로 이어진 구간으로
남도 유배문화와 다양한 순례 자원을 체험할 수 있다
남도낭만길은
여수에서 순천, 보성, 고흥으로 이어진 길로
지역의 독특한 생태환경과 다도해의 낭만을 체험할 수 있다
한편 한국관광공사가 운영하는 걷기 여행안내
두루누비 누리집(www.durunubi.kr)과
두루누비 응용프로그램에서 남파랑길 전체 90개 구간에 대한
상세 내용과 위치정보시스템(GPS) 기반 노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요 관광안내소에는 걷기 여행자들의 편의성과
지역 관광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역의 맛집과 카페 정보 등을 포함해
제작한 지도 홍보물이 비치되어 있다
남파랑길은 구간별 특징을 고려한 5가지 주제로
부산·경남·전남 지역 90개 코스, 1,463km 거리를 걷는 길이다
* 한류길(부산∼경남.창원) : 영화와 한류의 도시, 대도시와 자연의 반전 매력을 보유한 길
* 한려길(고성,통영,거제,사천,남해)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해안 경관이 아름다운 길
* 섬진강 꽃길(하동∼광양) : 섬진강과 꽃 경관이 아름다운 길
* 남도 낭만길(전남.여수,순천,보성,고흥) : 독특한 생태환경과 다도해를 따라 낭만을 체험할 수 있는 길
* 남도 순례길(장흥,강진,완도,해남) : 남도 유배문화와 다양한 순례 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길

전국에 비가 온다는 예보다
가능한 많은비는 내리지 않기를 바라면서~~
창포마을에 도착하니
다행히도 이슬비가 내린다
나무에서 한번
땅위에서 또 피는 동백
무수히 떨어져 있으니
이쁘다
손덕포구
광도천(光道川)
경남 통영시 광도면 우동리의 천개산 남쪽에서 발원하여
우동저수지를 지나 남동방향으로 흘러 노산리 해안으로 유입되는 지방하천이다
하천 수계는 본류와 4개의 소하천인 수직천, 대촌천, 전두천, 동해천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천연장은 4.57km, 유로연장은 7.93km, 유역면적은 14.81㎢이다
하천 발원지 인근으로 대당산과 도덕산, 중류부 남쪽으로 발암산 등의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 재료는 주로 자갈로 되어 있으며, 하천의 경사도는 상류부가 1/57, 중류부가 1/100,
하류부가 1/300으로 중상류부 구간은 비교적 급한 경사이다
하천 중하류구간을 따라 14번 국도가 있으며, 해안 합류지점 인근에는
35번 통영대전고속도로가 하천을 가로지르며 지난다
수국필때 너무너무 이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원문포(元門浦) 우측으로 조성된 죽림 해안로
여기를 지나 충무도서관옆
14코스 마지막이자
15코스 시작 QR를 찍어야 하는데
지나치고 말았다
비가와도 좋고
봄풍경은 언제봐도 멋지다
시골버스승강장에서
맛난 점심을~~
이번에도 입이 호강하다
백겹매화(옥매화)
돈나물
으름나무꽃
이번 코스엔
어마어마하게 쌓여있는
굴껍질에 놀라움이다
양촌항 해안가로 내려서서 조금 진행하여
우측으로 가야하는데
해안따라 계속가다 보니 남파랑길 표시가 안 보인다
모란
알바하면서 본~~~
고개도 하나 넘고
정코스를 찾아서 간다
이 길로 올라와야 하는데 에구구~~~
정코스길을 만나고
어느집에 조화처럼 화려하게 피어있는 중국등나무(자등)
무리지어 피어있는 등대풀
밤개항
여기도 굴껍질로 담을 쌓았다
굴다리를 빠져 나가니
유채꽃이 반겨준다
거제대교
신거제대교에서 거제대교로 이어주는 좁은 해협이 '견내량'이다
견내량(見乃梁)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를 잇는
거제 대교의 아래쪽에 위치한 좁은 해협이다
길이는 약 3 km, 폭은 약 180m, 400m까지이며
임진왜란 때 한산 대첩의 주요 배경이자
현재는 거제 대교와 신 거제 대교가 걸쳐 있는 곳이다
견내량은 고려 시대에는
고려 의종이 1170년 - 1173년까지 만 3년간 거제도로 유배되어
전하도(殿下渡)로 불렸고 임진왜란 때는 옥포 해전과 한산 해전의
주요 배경지가 되었다
특히 한산해전은 7월 5일부터 7월 13일까지 견내량에서부터 한산도 앞바다
그리고 안골포 전투를 벌이는 시발점이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수군은 한 번이라도 패하면, 수로의 주도권을 놓칠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해 있었으므로 해협과 만을 낀 수륙 합동 작전을 위한
유인작전과 공방전을 하는 전술을 구사하였다
임진왜란의 주요 해전의 배경이 된 곳은 이러한 좁은 해협과 거센 물길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육지와의 사이에서 바다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곳이기 때문에 지금은 모두 교량이 서 있다
견내량 해전을 한산대첩이라고도 하고 임진왜란 때의 3대첩의 하나이며
살라미스 해전, 칼레 해전, 트라팔가 해전과 더불어 세계 4대 해전으로 손꼽히면서
세계 역사에 길이 빛나고 있다
신거제대교밑을 통과하여
신거제대교를 건너간다
소공원으로 내려서서
직진으로 진행하여 오늘계획 후포항까지 가야하지만
부득이하게 신거제대교밑에서 마치고 맛난 뒷풀이를 한다
종일 약한 이슬비속을 걸었던 남파랑길~~
나름대로 운치있는 풍경이 좋았다
2025. 4. 20(일)
'코리아둘레길 > 남파랑길(進)'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파랑길 17코스(고현버스터미널~장목파출소까지)를 걷다 (0) | 2025.05.22 |
---|---|
남파랑길 16코스(15코스 신거제대교~16코스 고현버스터미널까지)를 걷다 (2) | 2025.05.09 |
남파랑길 14코스(13코스 화당방파제~14코스 창포마을까지)를 걷다 (2) | 2025.04.11 |
남파랑길 13코스(12코스 당항만둘레길 쉼터~13코스 화당방파제)를 걷다 (2) | 2025.03.23 |
남파랑길 12코스(암아교차로~당항만둘레길 쉼터까지)를 걷다 (2) | 2025.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