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랑길(Haeparang Trail)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보면서
너와 내가 함께 걷는 길'이란 뜻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을 따라 걷는
총 길이 770km의 걷기여행길이다
2010년 9월 15일에 문화체육관광부가
동해안 탐방로 이름으로
해파랑길을 선정하였으며
2016년 5월에 정식 개통하였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혼자 해파랑길을 시작하긴 했는데
코스를 더 해 갈수록 대중교통편으로
들머리 날머니 접근이 여간 어려운게 아니라서
5코스부터는 산악회를 따라서 가기로
마음을 바꾸었다
초특급 힌남노 태풍예고로
해파랑길을 가야하나 갈등속에
망설이고 있는데 진행을 한다고 하여
긴 거리를 쌩쌩 달려
진하역에 도착하니 태풍예고하고는
다른 흐린날씨지만 습도마저 높아
후텁지근함으로 시작한다
카메라를 얼음물과 같이 넣어 왔더니
렌즈에 서리가......에고고
지난번에 갔다 온 명선교
오늘은 물이 차서 길이 없어졌다
그날 잘 갔다 온~~ㅎㅎ
119시민수상구조대
5코스 시작 스탬프를 찍고~~
명선교
오늘 코스는 강을 따라
이런길을 계속 걷는 것이며
태풍이 온다고 하는데
바람도 거의 없어 엄청 무덥기만 하다
햇빛은 없어서 다행이지만....
낚시 시합이라도 하는 것일까....???
이틀동안 비가 많이 내렸다고 하더니....
메꽃
얼마후면 황금색으로 결실을~~
하늘이 열리는 것일까...??
강바람 시원하게 마시면서
전망대에서 점심을 먹고 출발이다
겹황매가 아직도 피어있고
백일홍
사마귀가 나비를 공격....???
자연석일까...???
단풍잎에도 가을이 내리고
전망대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있다
궁금하여 가 보니....
팔뚝만한 물고기가 곡예를 하듯
높이 점프를 한다
참말로 신기한 장면~~
언제 뛰어 오를지 몰라
잠깐 카메라를 들이대고 기다려 본다
뛰어오른 자리는 둥근게 물결로 대신하고
그래도 한컷 성공~~ㅎㅎㅎ
남천이 쭉 늘어선 길따라~~
가시박
외래종으로
칡넝쿨만큼 번지는 속도가 빠른...
하천주변에 엄청나게 많다
(오이잎이랑 호박잎과 거의 같은 모양)
여기를 건너 오는데
어떤 아저씨가 잎을 따시어 들고 계신 것을 보다
내가 보기에는 먹을려고 딴 잎인 것 같아서
혼자말로 저것 못 먹는 것인데....했는데
그 아저씨가 들었던 모양이다
이야기즉슨....
호박잎이라고 집에가서 먹을려고 땄다고 하신다
에고 아저씨 그 잎은 가시박입니다
아마도 못 먹는 것이라고...
가시박 검색을 해 보시라고 알려 드리고
총총 발걸음을 재촉한다
여우팥
이질풀
습지의 녹색식물 개구리밥...??
엄청나다
사위질방
이름이 좀 특이한 회야강(回夜江)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의 무지개폭포에서 발원하여
장흥저수지를 거쳐 동류하다가
덕계천에서 합류되어 북류하고 대복천과 합류되어
다시 동류하고, 회야호를 거쳐 남창천과 합류되어 동류하다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서생면등을 거쳐 동해로 흘러들어 가는 강
신라의 시조 혁거세왕이 태어난 박이 밤에
이 강으로 떠돌아 왔다는 설이 있고
임진왜란때 왜적을 무찔러 크게 이긴 곳이기도 하다
토박이 땅 이름으로는 '돌배미강'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일승강(一勝江)'이라고도 한다
곡류천을 명명할 때에는 곡(曲)·회(回)·구비(仇非)·도내(道內) 및
돈(敦)·석(石)과 유류의 형태를 나타내는 궁(弓)·을(乙)·지(之) 자를 많이 썼다
‘논배미를 돌아서 흐르는 강’이란 뜻의
돌배미강에서 돌을 돈다는 뜻의 ‘회(回)’ 자로 바뀌고
배미는 논배미→바미→밤→야(夜)로 변하여 회야강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곰내 혹은 곰수로 불렀고
웅촌에서는 남천, 온산에서는 회야강, 서생에서는 일승강이라고 불렀다
한편 회야강은 일승강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임진왜란 당시 단 한 번의 전투에서
왜군을 꺾었다고 해서 나온 이름이라고 한다
다리를 건너고
낚시하는 사람들이 보이고
얼마남지 않았다
힘을 내자...
전철이 지나간다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 것일까...???
해파랑 표시를 자세하게 해 놓아
길 잃을 염려는 전혀 없다
흑미
굴다리를 빠져 나가면
화살표시는 직진방향이지만
해파랑 리본이 보이는
왼쪽으로 진행해야 한다
참싸리
다섯분이 오늘 이 산악회엔 처음....
아주 잘 걸으시는 분들이다
잠깐 본 하늘이 이쁘다
붉나무
화사하게 피었던 패튜니아도 내년을 기약하고....
덕하역300m.....
끝이 서서히 보인다
2일,7일장
오늘 날짜가 맞았으면 구경 했을텐데.....
5코스 끝지점과
6코스가 시작되는
덕하역 앞 도착~
무사히 마무리를 한다
덕하역(Deokha station, 德下驛)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상남리에 위치한
동해선의 역으로
1935년 12월 16일에 영업을 개시하였고
1941년 5월에 역사를 신축하였으며
2002년 1월 구역사가 개축되었다
2007년 6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부전방면 새마을호가 1회 정차했는데
퇴근 시간대에 부전방면 무궁화호가 없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서울 방면 새마을호는 정차하지 않았고
2008년 1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퇴근 시간대에
부전방면 무궁화호가 신설되어
새마을호는 더 이상 정차하지 않았다
1992년 울산 도심 철도 이전사업의 과업종료 지점이었으며
현재의 역사는 이설한 것으로
구 역사는 북쪽 구 승강장 앞에 있었다
또한 그 이전사업 전에는
서울~울산 새마을호의 주박지가 이 곳이었다
지금도 화장실 옆에 있는 건물이
당시 승무원들이 사용하던 승무원 전용 숙사다
2021년 12월 28일동해선 광역전철의
일광 ~ 태화강 구간이 개통에 따라
전철역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울산차량사엽소 출고편으로
덕하발 부전행 전동열차가 있다
**
덕하역옆 공터에서
맛난 음식으로 뒷풀이 후
대전으로 쓩~~~
함께 하신 모든님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2022. 9. 4(일)
'코리아둘레길 > 해파랑길(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파랑길 7코스(태화강전망대~염포산입구까지)를 걷다 (8) | 2022.10.04 |
---|---|
해파랑길 6코스(덕하역~태화강전망대)를 걷다 (2) | 2022.09.27 |
해파랑길 4코스(임랑해변~진하해변)를 걷다 (0) | 2022.09.02 |
해파랑길 3코스(대변항~임랑해변)를 걷다 (0) | 2022.08.25 |
해파랑길 2코스(해운대 미포~대변항)를 걷다 (0) | 2022.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