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포천 아우름길
김해 화포천은 진례면 신월리 대암산(659m)골짜기에서
한림면 금곡리 낙동강까지 21.2km에 이르는
지방2급 자연습지 하천이다
故노무현 대통령의 고향인 진영읍 봉하마을과
화포천습지 생태공원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생태문화탐방로로
국내 최대 하천형 배후습지인 화포천을 주변으로
7개의 코스로 나누어서 걸을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놓았다
살아 숨쉬는 800여종의 생명, 노무현대통령역사,
화포천주변 마을주민들의 삶을 아우르는 길로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에 선정 되었다고 한다

코스 | 코스 이름 | 거리 | 소요시간 | 주요 경유지 |
1 | 봉하화포길 | 5 Km | 2시간 | 진영역-봉하마을-화포천습지생태공원-진영역 |
2 | 대통령길 | 4 km | 1시간 40분 | 봉하마을-봉화산길-화포천습지생태공원-봉하마을 |
3 | 버들길 | 2 Km | 50분 | 화포천습지생태학습관-영강사-화포천습지생태학습관 |
4 | 넓은뜰길 | 2.8 Km | 1시간 | 화포천습지생태공원-창포뜰-물억새뜰 |
5 | 물꽃길 | 4.5 Km | 1시간 30분 | 한림운동장-어은마을-장재마을-한림정역 |
6 | 강따라길 | 4.5 Km | 1시간 30분 | 오서마을-서부농장-금곡마을-부평마을(상습침수지구 개선사업 추진중) |
7 | 만남길 | 2.8 Km | 1시간 | 정촌마을-모정마을-신촌마을-시전마을 |
기차를 타고 지나갈때마다 보여 궁금했던 곳
검색을 해 보니 김해 화포천으로
아우름길1~7코스로 다양하게 해 놓았다고 한다
며칠전 진주 가면서도 보게 되어 한번 걸어봐야겠다는
마음을 먹고 있다가 겨울철새도 볼겸하고 오늘 그 곳으로 간다
진영역에서 내려
정해진1~7코스를 완주하기는 좀 그렇고
발길 가는대로 걸어 볼 생각이다
역시 춥다고는해도 울동네 보다는 훨씬 덜 추움으로
이정표 방향따라 출발~~
데크계단을 오르고
보이는 다리밑을 통과하여
철길 옆길로해서 가기로 한다
내가 타고 지나갔던 철길
뒤돌아 보고
이런 수채화 풍경은
겨울의 멋을 제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싶다
기차안에서 봤던 데크길로 들어선다
미국쑥부쟁이씨방
새들이 내 발걸음에 놀랐던 모양이다
화포천생태학습관이 보인다
봉하마을로 간다
본산배수장
철새들이 휴식 중~~~??
훨~훨~~ 날아간다
앞에 보이는 저 바위봉우리도
차안에서 지나갈때마다 궁금했던 곳이다
춥다고해서 롱패딩에 운동화를 싣고 왔지만
산꾼이 그냥 지나쳐 갈 수 없는.....ㅎㅎ
봉화산을 오르기로 한다
임도를 제법 오르고
산속의 작은 저수지
가파르게 오르는 계단 위 보이는 것이......??
뒤돌아 보고
전망대도 있고
무척산을 조망하고
낙동강도 조망하고
아~~~
낮은산이지만 사방팔방 조망이 좋은
봉화산이었구나....
그런데 산정상에 호미든 관음성상을 왜 세워 놓았을까....??
화포천
봉하마을
내려간다
한번 더 뒤돌아 보고
봉화대로~~
정토원
호미든관음성상~~~
그런 사연이 있었구나
여기 올라 서고 보니
기차타고 오갈때마다 보였던 그 바위봉우리....
늘 궁금했었는데 봉화대의 사자바위였다는 것을 알게 되다
왼쪽 걸어 온 길~~
여기서 보는 풍경이 멋지다
옆으로 나가지 못하게 철조망을 다 쳐 놓았다
계단으로 내려간다
봉화대 오르는 길에 봤던 정토원이 다시 보이고
정토원
노무현 전대통령 묘역이 살짝 보이고
부엉이바위로 가 본다
안타깝고 슬프고....철조망으로 되어 있는
그 부엉이바위를 바라본다
다시 되돌아 내려가고
햇빛이 들어와서 자세히 윤곽이 보이지 않는.....
내려가면서 본 부엉이바위
내려온 길 올려다 보고
故 노무현대통령 일대기를 전시 해 놓았다
2009년....
벌써 많은 시간이 흘렀다
추모글이 젖힌 1만5천개의 하얀돌로 연결한 것은 골목길을 의미함
부엉이바위랑 사자바위가 보이고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 달라."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유언에 따라 아주 검소하게 만들어진 묘지다
남방식 고인돌 형태의 너럭 바위를 비석 겸 봉분처럼 만들었고
화장한 유골을 백자 도자기와 연꽃 석합에 담아
참여 정부 기록 DVD등과 함께 비석 아래에 안장했다
비석 받침 강판에는 노무현 대통령의 어록 중 시민 주권론을 강조한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 된 힘입니다."를
신영복 선생의 글씨로 새기고, 비석에는 약력은 쓰지 않고
지관 스님의 글씨로 '대통령 노무현' 6글자만 썼다
유해가 안장된 묘지와 그 주변은 '국가 보존 묘지' 1호로 지정이 되었으며
365일 헌화하는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통령의 집은 코로나로 인해 임시 휴관중~~~
노무현대통령의집
시민 노무현의 꿈이 깃든 삶의 공간이자
노무현 대통령이 2008년 2월 25일 퇴임 이후 2009년 서거 전까지
생활하던 공간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퇴임 후 고향으로 돌아온
대한민국 첫 대통령
귀향을 통해 참여정부 국정 철학인 국가균형발전을 실천했으며
이 집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생태계가 살아있는
아름답고 잘 사는 농촌,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의 꿈을 실현하고
진보적 민주주의를 연구하는 일에 힘을 쏟으며 시민으로서의 새로운 삶을 모색했으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지붕 낮은 집’이다
생태 건축으로 유명한 고(故) 정기용 건축가가 설계하고
흙, 나무 등 자연 재료를 사용했으며 지상 1층 지하 1층 규모이다
주변 산세와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지붕을 낮고 평평하게 지어 ‘지붕 낮은 집’으로도 불린다
우리 전통 가옥 양식을 차용해 사랑채와 안채, 서재 등
공간을 채 나눔 한 점이 특징이며 생활에는 다소 불편하지만
되도록 자주 자연과 마주하라는 건축가의 의도와
언젠가 시민에게 돌려 주려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구조여야 한다는
건축주의 뜻이 만난 결과이다
시민문화체험전시관
묘역을 뒤로하고 화포천으로 향한다
사자바위(봉화대)
부엉이바위
멀구슬나무
남해안의 낮은 지대에서 높이 15m 정도까지
자라는 갈잎큰키나무이며
나무 껍질은 회갈색으로 세로로 잘게 갈라지며
작은 껍질눈이 많다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겨울눈은 둥근 공 모양이며 회갈색 털로 촘촘히 덮여 있고
잎자국은 T자 모양이다
5월에 잎겨드랑이의 커다란 원추형 꽃차레에
연보랏빛 꽃이 촘촘히 모여 피는데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5개씩이며
10개의 수술은 하나로 합쳐져서 원통 모양이 된다
2cm 정도 크기의 둥근 열매는 가을에 노랗게 익는데
약간 단맛이 나며 잎이 떨어진 겨울에도 주렁주렁 달려 있다
열매는 기름을 짜기도 하고 가축의 구충제로 쓰기도 했다는데
세로로 골이 지는 오이씨 같은 씨앗은 독이 있어
함부로 먹으면 안 된다
멀구슬나무이란 이름은
멀건 구슬 같은 열매가 달리는 나무에서 얻었다고도 하며
염주를 만들 수 있어 ‘목구슬나무‘로 부르다가
멀구슬나무가 되었다고도 하나
'1말의 구슬을 딸 수 있을 정도로 열매가 많이 달리는 나무'란
뜻이 아닐까 싶기도 한다고 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말구슬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고 한다
봉화산으로 가는 갈림길을 다시 만나고
기차가 지나간다
화포천으로 내려선다
봄봄봄~~~!!!!
생태학습관 쪽으로 가 본다
박물관 들어가는 것은 패스하고 걷는다
갔다 온 사자바위가 멀리 보이고
새들의 휴식처인 나무가 하얗게 됐다
화포천아우름길 표시따라~~
벚꽃피면 화사할 길~~
새들이 옹기종기~~
화포천 체육공원으로~~
조용히 걷는 순간순간이 참 조으다~~~
체육공원
다리를 건너서 좌측 장재마을 방향으로~~
새들의 천국인 듯~~~
장재교를 건너가서 진행할까 하다가
코스따라 장재마을로 계속~~
장재교
6코스로 접어들고
오서배수장도 지나고
오서마을을 지나 7코스 금곡마을로 가야하지만
계속 진행하기가 좀 무리일 것 같아서
오서교를 건너서 진영역으로 가기로 한다
오서교
뱀처럼 긴 KTX가 지나간다
아우름길 7코스 끝까지 가지 않아서 그런지
이정표가 보이지 않는다
철길 옆길로해서 길따라 간다
itx도 지나가고
이정표를 만나고
한림정역으로~~
역도 지나고
갈림길에서 지나갔던 4코스 이정표를 다시 만나고
메타쉐콰이아길로~~
맞은편에 걸었던 벚나무길도 보이고
이 데크를 올라서면 시작했던 진영역이다
동대구역으로 가서 대전으로~~
**
완주는 아니지만
그래도 많이 걸었다
기차안에서만 봤던 곳의
궁금함도 다 풀고
사자바위도 올라보고
봉하마을도 가 보고
故 노무현대통령님도 만나고
한겨울의 습지풍경을
가득가득 안은
찡하게 유익한 날이었다~~^^
2022. 2. 17(목)
'그냥 걷고 싶을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영동와인터널&레인보우식물원에 가다 (0) | 2022.03.17 |
---|---|
경남 통영 종현산(마파산)숲길&한산대첩길&이순신공원 가다 (0) | 2022.03.09 |
경북 포항 호미반도 해안둘레길을 종주하다 (0) | 2022.02.16 |
설날에 만난 눈 내린 경기도 평택호~~^^ (0) | 2022.02.06 |
경남 통영 학림도에 가다 (0)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