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걷고 싶을때..

함양 선비문화 탐방로를 걷다(1)

샘 터 2024. 9. 3. 15:43

 

 

 

 



 

 

화림동 계곡 선비문화탐방로

 
 
안의 삼동 중에서 화려한 자연의 미를 간직한 곳이
남강의 지류인 화림동(花林洞)이다
 
화림동은 남덕유산에서 발원하는 금천이
'팔담팔정(八潭八亭)'을 이루어
예부터 정자 문화의 보고라 불렸다
 
특히 농월정은 '달을 희롱한다'는
선조들의 풍류사상이 깃든 곳으로
함양군을 찾은 많은 문인과 묵객들이
필히 거쳐간 곳이다
 
선비문화탐방로는 이곳 화림동계곡을 따라
함양군 안의면에서 서하면에 걸쳐
2구간으로 조성되어 있다
 
거연정에서 농월정유원지까지 6km(1구간),
농월정유원지에서 오리숲(안의)까지 4km(2구간)로 총 10km이다

 

 

 

 

 

 

 

 

 



 

산으로 가야하는데 이번에도 트레킹을 하러간다

오래전 산행 후 이 계곡을(화림동계곡)경유하여 발을 담그고

멋진 정자도 봤을 기억은 희미해지고 엄청나게도 무덥던 날씨는

어김없이 오는 계절에 자리를 내어준 듯 참 시원한 날씨다

 

축복받은 날씨에 선비가 되어 계곡을 누비며

맘껏 즐기면서 취해 보기로~~~

 

 

 

 

 

 

 

 

화림동계곡

 

해발 1,508m의 남덕유산에서 발원한

금천(남강의 상류)이 서상~서하를 흘러내리면서

냇가에 기이한 바위와 담소를 만들고 농월정에

이르러서는 반석 위로 흐르는 옥류와 소나무가 어우러져

무릉도원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장장 60리(15km)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정자 문화의 메카라고 불리는 곳답게

계곡 전체의 넓은 암반 위에 수많은 정자와 기암괴석으로 어우러진 곳이다

 

계곡에는 조선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판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진주대첩 시 장렬히 전사한

이 고장 출신 지족당 박명부 선생이 머물면서 시회를 열기도 하고

세월을 낚기도 했다는 농월정이 있고 농월정 주변은 함양군에서

국민관광 단지로 조성하여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멋진풍경에 속도를 내면 너무 아까운~~

쉬엄쉬엄 진행하기로 한다

 

 

 

 

 

 

 

이정목이 잘못 표기 된 것 같다

거연정을 둘러보고 나왔는데.....

 

 

 

 

 

 

 

 

 

 

 

 

 

싸리나무꽃

 

 

 

 

 

 

 

 

 

 

 

 

 

칡꽃향기 진하게~~ 진하게~~

시작할때부터 코끝에 매달고서 걷는

특권으로 주어지는 너무 좋은 날이다

 

 

 

 

 

 

 

 

 

 

 

 

 

배풍등

 

 

 

 

 

 

 

 

 

 

 

 

 

만나기 쉽지 않은 뻐꾹나리~~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꽃의 모양과 무늬가 뻐꾹새와 비슷하며

나리꽃과 유사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중부지역 이남의 숲속에 전국적으로 자생한다

어린 순을 식용하며 약재로도 사용한다

 

 

 

 

 

 

 

 

 

 

 

 

 

 

 

 

 

 

에어풍선이 바람에 몸을 맡겨 신나게 춤을 춘다

 

 

 

 

 

 

 

 

고구마꽃

이 꽃도 쉽게 볼 수 없는데 횡재다

 

 

 

 

 

 

 

 

 

 

 

 

 

 

 

 

 

 

구름이 햇빛을 가려주고

바람도 시원하게 불어주고

걷기에 아주 좋은날~~

 

 

 

 

 

 

 

 

 

 

 

 

 

담쟁이가 기둥에 멋진 그림을 그리고 있다

 

 

 

 

 

 

 

 

하루하루 다른

가을느낌이 있는 풍경~~

 

 

 

 

 

 

 

 

 

 

 

 

 

 

 

 

 

 

동호정

 

 

 

 

 

 

 

 

반영도 너무 아름답고 멋진~~~

 

 

 

 

 

 

 

 

 

 

 

 

 

 

 

 

 

 

 

 

 

 

 

 

 

 

 

 

돌다리를 건너서 동호정으로~~

 

 

 

 

 

 

 

 

엄청나게 큰 암반

 

 

 

 

 

 

 

 

 

 

 

 

 

암반위에서 주위 풍경에 취하고

 

 

 

 

 

 

 

 

 

 

 

 

 

 

 

 

 

 

 

 

 

 

 

 

 

 

 

 

 

 

 

 

 

 

 

 

 

 

 

 

 

 

 

 

 

 

 

 

 

사과농사를 많이 하는.....꽃처럼 달려있다

 

 

 

 

 

 

 

 

 

 

 

 

 

뭘 찍고 계실까요....????

 

 

 

 

 

 

 

 

개구리밥이 가득~~

 

 

수생식물로 엽상체의 중심부에서 가는 뿌리를 물위에 내리며

7~8월에 꽃이 피지만 너무 작아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겨울이 되면 가라앉아서 동면상태에 들어간다

번식력이 굉장히 강해서 금방 숫자가 늘어난다

한자로는 부평초(浮萍草)라고 한다

 

바람만 불어도 물 위를 이리저리 떠다니는

개구리밥의 모습에서 나온 관용구구가 바로 '부평초 같은 인생' 

물 위에 떠다니는 삶을 위해서

모든 것을 극단적으로 퇴화시킨 식물이다

가장 가까운 친척은 놀랍게도 구약감자와 토란, 타이탄 아룸이다

 

 

 

 

 

 

 

 

자라풀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줄기나 종자로 번식하는 수생식물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연못이나 정체된 강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턱잎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부엽은 잎자루가 있는데

잎자루의 길이는 수심에 따라 다르다

 

잎몸은 지름이 4~8cm 정도로 원형이고 밑부분은 심장저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기포와 그물눈이 있다

 

8~9월에 피는 꽃은 단성화로 물위에서 피며 꽃잎은 백색이고

밑부분에 누른빛이 돈다

 

열매는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육질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물질경이속’과 달리 잎이 물위에 뜨고 꽃은 단성이다

 

꽃이 단성이며 줄기가 땅속으로 벋어간다는 점이

‘물질경이’와 다르다

관상식물로 물속에 심기도 하며 퇴비로 이용하기도 한다

 

 

 

 

 

 

 

 

 

 

 

 

 

 

 

 

 

 

 

 

 

 

 

 

 

 

 

 

 

 

 

 

 

 

 

 

 

 

 

 

람천정

 

 

 

 

 

 

 

 

마타리

 

 

 

 

 

 

 

 

 

 

 

 

 

영화의 주인공처럼

레드카펫(?)을 밟으면서

걷기에 아주 좋은 길~~

 

 

 

 

 

 

 

 

 

 

 

 

 

무엇을 보셨을까요...???

 

 

 

 

 

 

 

 

사계절을 걸어도

좋은 길~~

내맘에 쏙 든다

 

 

 

 

 

 

 

 

 

 

 

 

 

 

 

 

 

 

날씨가 선선하여

더 좋은 길~~

 

 

 

 

 

 

 

 

산행 후,

그리고

문화탐방길에

많은 사람들이 찾았을

어느 음식점

지금은 거의 사람들이 찾지 않는

시그널만이 달려 있다

 

 

 

 

 

 

 

 

 

 

 

 

 

 

 

 

 

 

 

 

 

 

 

농월정 근처로 내려간다

 

 

 

 

 

 

 

 

적당한 바위위에서 점심을 먹기로 한다

 

 

 

 

 

 

 

 

 

 

 

 

 

 

 

 

 

 

 

 

 

 

 

점심을 맛나게 먹은 후

하늘길을 걷는다....ㅎㅎㅎ

 

 

 

 

 

 

 

 

가위바위보로 골찌한 사람

물에 밀어넣기....

제일 나이 많은 분이 걸려서

차마 밀어넣지는 못하고

웃음꽃으로 대신~~ㅎㅎㅎㅎ

 

나이불문~~

다들 동심으로~~~ㅎㅎㅎ

 

 

 

 

 

 

 

 

 

 

 

 

 

 

 

 

 

 

 

 

 

 

 

사진 찍는 나에게 물 튕기기~~ㅎㅎㅎ

 

 

 

 

 

 

 

 

올 여름 마지막으로 계곡에 풍덩 할려고

옷도 다 챙겨 왔는데 시원해도 너무 시원해서

물에 들어 갈 수가 없는 아쉬움이다

 

 

 

 

 

 

 

 

신나게 잼나게 실컷 놀고

깔끔하게 정리 후 농월정으로 간다

 

 

 

 

 

 

 

 

암반이 참 신기하게도 생겼다

 

 

 

 

 

 

 

 

 

 

 

 

 

 

 

 

 

 

농월정이 보이고

 

 

 

 

 

 

 

 

 

 

 

 

 

 

 

 

 

 

 

 

 

 

 

 

 

 

 

 

암반 위 곳곳에 물이 고여있다

 

 

 

 

 

 

 

 

신을 벗고 건너갈려고 

이리저리 찾다가

돌도 미끄럽고

물에 빠질 것 같아서

한참 빙빙 돌아

농월교를 건너서 간다

 

 

 

 

 

 

 

 

다리위에서 좌측의 농월정~

 

 

 

 

 

 

 

 

우측의 적벽...???

 

 

 

 

 

 

 

 

배롱나무

 

 

 

 

 

 

 

 

 

농월정은 '달을 희롱한다'는 뜻으로

그 이름처럼 밤이면 달빛이 물아래로 흐른다고 한다.

 

농월정 앞에 넓게 자리하고 있는 반석을 달바위(월연암)라고 부르는데

바위 면적이 정자를 중심으로 1,000여 평 된다고 한다

 

 

 

 

 

 

 

 

 

 

 

 

 

 

 

 

 

 

 

 

 

 

 

 

 

 

 

 

농월정에서

시원한 바람 가득 채우고

다시 되돌아 나와서

 

 

 

 

 

 

 

 

나머지는 승용차로 이동하기로 하고

택시를 불러 시작점으로 간다

 

 

 

 

 

 

 

 

 

광풍루(光風樓)

 

태종 12년(1412) 이안현(현재 안의면)의 현감 전우가 창건하면서

선화루(宣化樓)라 불렀다

세종 7년(1425) 김홍의가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으며

성종 25년(1494) 일두 정여창이 크게 지으면서

'광풍제월(光風霽月)'의 의미를 담아 광풍루라 부르게 되었다

 

 

광풍제월 : 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발마과

밝은 달을 뜻하는 것으로 마음이 넓고 쾌할하며

아무 거리낌없이 없는 인품을 비유

 

 

 

 

 

 

 

 

 

 

 

 

 

 

 

 

 

 

오리숲

 

안의면의 오리숲은

연암 박지원이 안의현감 시절

치산치수를 위해 조성한 숲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