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길따라 밟은 흔적들

합천 미숭산~고령 주산~대가야 고분(지산동 고분군)에 가다

샘 터 2024. 4. 1. 15:44

 

 

 

 

 

 

 

 

 

 

* 일시 : 2024.   3.   27(수)

* 코스 : 반룡사입구~삼거리 갈림길~미숭산성~미숭산~다시 갈림길~청금정~반식쉼터~주산~대가야고분군~박물관

 

 

 

 

3년전 이맘때에 갔었던

미숭산 벚꽃과 진달래 꽃길이 너무 이뻤던

그 시간들을 떠올리면서

산우들과 같이 걷고 싶어 올해는 꽃이 조금 늦긴해도

그때는 진달래가 조금씩 지고 있는 중이어서 기대를 안고

곳곳에 안개 자욱한 도로를 쌩쌩 달린다

 

 

 

 

 

 

 

 

저 멀리 황악산 능선이 봄눈을 하얗게 입고 있다

 

 

 

 

 

 

 

 

코스를 그때보다는 조금 쉽게 걷기 위해

대가야박물관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택시를 불러

미숭산자연휴양림 나성현 임도까지 가서

산을 오를려고 계획을 하고 택시를 부르고 있는 사이

생각지도 않았던 마을버스가 와서 미숭산입구 간다고하여 무작정 탔다

기사님께서 친절하게 내려 주신 곳이 반룡사입구 등산로이다

 

미숭산2.7km~~

일단 길지 않은 거리

반룡사는 패스하고 어제 비가 내린

촉촉한길 위에 발자국을 남긴다

생각보다 길이 좋다

 

 

 

 

 

 

 

 

반룡사

 

 

 

 

 

 

 

 

오늘 함께 하신 한분이 생일이시다

산에서 조촐하게 불을 밝혀 축하송을 부르고

하산 후 뒷풀이때 제대로 하기로 한다

 

 

 

 

 

 

 

 

축하~!!

축하~!!!

드립니다

건강하시고

오래오래 자연과 함께 하시기를~~~^^

 

 

 

 

 

 

 

 

미숭산/청금정으로 가는 갈림길이다

여기서 미숭산 정상을 찍고 다시 이곳으로 와서

청금정으로 가기로 한다

 

정금정에서부터 걸으셨다는

나이 지긋이 드신 두분을 만났다

이렇게 두분이서 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이

참 보기 좋은~~~

나도 오래오래 건강하게 산우들과 함께 하고픈 마음이다

 

 

 

 

 

 

 

 

에구 진달래가~~~~????

 

 

 

 

 

 

 

 

3년전엔 이 길위에 진달래 꽃잎도 떨어져 있고

진달래가 양팔벌려 이쁘게 환영을 해 주어

산우들과 다시 동행 하였는데....

아직 눈도 뜨지 않았다

산우들께 그저 미안한 마음이 앞선다

 

 

 

 

 

 

 

 

 

 

 

 

 

그때는 미세먼지로 코앞도 보이지 않았는데

오늘은 아주는 아니지만 그나마 깨끗한....

 

 

 

 

 

 

 

 

진달래꽃 없는 길~~~아쉽다

 

 

 

 

 

 

 

 

작지만 샛노랑제비꽃으로 대신~~

 

 

 

 

 

 

 

 

 

 

 

 

 

저번에 하산했던 신리 저수지가 보인다

 

 

 

 

 

 

 

 

 

 

 

 

 

눈에 못이겨...??

바람에 못이겨...???

부러진 소나무에 매달려~~ㅎㅎㅎㅎ

누가누가 오래 버티실까....?????

 

 

 

 

 

 

 

 

 

 

 

 

 

 

 



 

 

 

 

 

 

 

그때 왔을때는 미세먼지로 아예 보이지도 않았는데

정상에서 조망을 할 수 있음이 다행이다

 

 

 

미숭산(美崇山.757m)

 
고령읍과 합천군 야로면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고령군의 최고봉으로 옛날의 상원산(上元山)이다

 

이 산정의 꼭대기에는 4정(町) 6반(反)의

고위 평탄 면으로 되어 있으며

주위는 험준한 급경사이고

가장자리는 조선 초기부터 석성(石城)에

쌓여(둘레 397步)있었으며

샘, 못, 군창(軍倉) 등이 있었다


고려말 정몽주의 문인인

안동 장군(安東將軍) 이미숭(李美崇)이

이성계와 접전하다 순절한 산이다

 

이미숭 장군이 이 산을 근거지 삼아 성을 쌓고

군사를 조련해 가며 이성계에 대항했고

그 절개를 기려 산의 이름이 이렇게 바뀌게 되었다 한다

 

미숭산은 고려말 이미숭 장군이 군사를 모아 성을 쌓고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에 대항하며 고려를 회복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순절한 곳으로 전해온다


정상 주변은 미숭산성의 성문과

성터의 잔해가 있고 샘물이 성문터 옆에 있다

 

이 미숭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조선조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한다

 

정상에 밀면 흔들리는 까닥바위가 있다

동남쪽 고령군 쌍림면 쪽에 고찰 반룡사가 있으며

 

산 남쪽 고원지대인 상대마을에 있는

수련원 뒤로 미숭산 정상까지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시원하게 펼쳐진 능선을 마음껏 담는다

 

 

 

 

 

 

 

 

 

 

 

 

 

 

 

 

 

 

정상에서 멋진 조망을 하면서 점심을 먹고 되돌아 간다

 

 

 

 

 

 

 

 

 

 

 

 

 

 

 

 

 

 

진달래터널인데 필 때를 맞추기란 쉽지 않다

 

 

 

 

 

 

 

 

 

 

 

 

 

이렇게 많은 줄 몰랐던

진달래꽃 대신 쭉쭉 뻗은 소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다시 미숭산/청금정 갈림길에 도착하고

 

 

 

 

 

 

 

 

청금정으로 가는 길에  핀 진달래가 조금씩 보인다

 

 

 

 

 

 

 

 

 

 

 

 

 

 

 

 

 

 

 

 

 

 

 

오~~

색이 참 진하니 이쁘다

 

 

 

 

 

 

 

 

 

 

 

 

 

언제쯤 활짝 필 것인지.....?????

 

 

 

 

 

 

 

 

 

 

 

 

 

 

 

 

 

 

 

 

 

 

 

 

청금정에 올라 조망을 한다

 

 

 

 

 

 

 

 

 

 

 

 

 

 

 

 

 

 

 

 

 

 

 

 

 

 

 

 

 

 

 

 

 

왼쪽엔 벚꽃이 만발하였었는데.......

 

 

 

 

 

 

 

 

쉼터에도 벚꽃으로 화려 했었던~~~

 

 

 

 

 

 

 

 

 

 

 

 

 

잠깐 휴식을 하고 주산으로~~

 

 

 

 

 

 

 

 

 

 

 

 

 

 

 

 

 

 

꽃샘추위에 살짝...

 

 

 

 

 

 

 

 

 

 

 

 

 

남산제비꽃

 

 

 

 

 

 

 

 

 

 

 

 

 

 

 

 

 

 

 

 

 

 

 

 

 

 

 

 

내려왔을때 하고는 더 높아 보이는 주산 오름길~

 

 

 

 

 

 

 

 

 

 

 

 

 

 

주산~

 

다시 찾아봐도 정상석은 보이지 않고

 

 

 

 

 

 

 

 

 조금 옆에 삼각점이 있다

이것을 정상석으로 대신 해 본다

 

 

 

 

 

 

 

 

솜나물

 

 

 

 

 

 

 

 

안으로 조금 들어가니 이런 굴귀가 있다

무슨 뜻이며 용도는.....????

 

 

 

 

 

 

 

 

대가야 고분군으로 내려간다

 

 

 

 

 

 

 

 

 

 

 

 

 

 

 

 

 

 

무엇을 열심히 찍고 계시는 것일까....????

 

 

 

 

 

 

 

 

깜찍하고 이쁜 구슬봉이었다

 

 

 

 

 

 

 

 

제비꽃

 

 

 

 

 

 

 

 

 

 

 

 

 

 

 

 

 

 

 

 

 

 

 

 

 

 

 

 

 

 

 

 

 

 

 

 

 

 

 

 

 

 

 

 

 

 

 

 

 

 

 

 

 

 

 

 

 

 

 

 

 

 

 

 

 

 

 

 

 

 

 

 

 

 

 

 

 

 

 

 

 

 

 

 

 

 

 

 

 

 

 

 

 

 

 

 

 

 

 

 

 

 

 

 

 

 

 

 

 

 

 

 

 

 

 

 

 

 

 

 

 

 

 

 

 

 

할미꽃

 

 

 

 

 

 

 

 

 

 

 

 

 

 

 

 

 

 

 

 

 

 

 

 

 

 

 

 

 

 

 

 

 

 

 

 

 

 

 

 

 

 

 

 

 

 

 

 

 

 

 

 

 

 

 

 

 

 

 

 

제법 핀 벚꽃을 만나고

 

 

 

 

 

 

 

 

 

 

 

 

 

 

 

 

 

 

 

돌단풍

 

 

 

 

 

 

 

 

흰색진달래~~그때도 보고 

또 보고 싶어 왔는데 곱게 피어있다

 

 

 

 

 

 

 

 

안으로 들어 가 본다

 

대가야박물관 관람료가 있지만

지산동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기념으로

2023년 9월 ~2024년 4월까지 무료입장이다

 

 

 

대가야박물관

 

1980년 대가야유물전시관으로 개관한 이후

2000년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된 최대 규모의 대가야시대 순장무덤인

지산리 44호 무덤을 복원, 재현한 대가야 왕릉전시관을 개관했고

 

2005년 대가야를 중심으로 고령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전시한

대가야역사관을 개관하면서 대가야박물관으로 발전했다

2006년에는 우륵과 가야금을 체계적으로 재조명한 우륵박물관을 개관하였다

 

대가야왕릉전시관은 연면적 1,617㎡에 지하 1층, 지상 1층의 시설로

전시실과 수장고를 갖추고 있다

관람객들은 실물크기로 만든 모형 44호분 속에 직접 들어가서

무덤의 구조와 축조방식, 주인공과 순장자들의 매장모습

껴묻거리의 종류와 성격 등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다

 

대가야역사관은 연면적 2,232.72㎡에 지상 2층의 전시관과

야외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실에서는 대가야의 역사를 중심으로 고령 지역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역사·문화에 대한 설명과 함께 유물을 살펴볼 수 있고

어린이체험실에서는 대가야 토기 퍼즐 놀이, 탁본 및 인쇄 등 전통문화 체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가야금을 창제한 악성 우륵과 관련된 자료를 발굴·수집·보존·전시하여

국민들이 우륵과 가야금의 세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건립한 테마박물관인 우륵박물관은

연면적 965㎡에 전시실과 악기고, 가야금공방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일반 2,000원, 학생 1,500원의 관람료가 있다

 

 

 

 

 

 

 

 

 

내 고향 함안 말이산 고분도 세계유산으로 인정되어 참 기쁘다

담에 기회되면 고분군을 다 돌아보면 좋을 듯 하다

 

 

 

 

 

 

 

 

 

 

 

 

 

 

 

 

 

 

 

 

 

 

 

 

 

 

 

 

 

 

 

 

 

 

 

 

 

 

 

 

 

 

 

 

박물관을 둘러보고 나와서

 

 

 

 

 

 

 

 

다양한 색의 팬지를 보고

 

 

 

 

 

 

 

 

 

 

 

 

 

 

 

 

 

 

 

 

 

 

 

 

 

 

 

 

대전에 도착하여

어느식당에서 다시 제대로 축하를 한다

 

**

 

이쁘고 좋았던 기억으로

다시 가 본 산~~

기대했던 꽃들을 보지 못한 아쉬움은 있었지만

시기에 따라 달라 보이는 풍경들에 위로를 받으면서

폭신한 길위에 또 다시 추억을 포갰던 날~~^^

 

 

 

2024.    3.   27(수)